사물인터넷에 대해서 공부한 개략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파트입니다.
목차
IoT (사물인터)
주위의 사물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가치를 추가하여
그 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로 정의
등장 배경
M2M, USN과 같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진화
사회 경제적 측면으로는 이동 통신사 수익률 악화에 따른 사물통신 활성화
기술적 측면으로는 표준화, 통신기술 발전, 소형화 및 대량 생산화, 반도체 기술 발전
표준의 중요성
IoT 분야에서 표준이 없다면 각 제품마다 호환성이나 가격적인 영역에서 손해를 봄
공식적 표준, 사실상 표준 등등 여러 표준들이 있지만
현재 한국 국내에서는 KT 는 (전에는 SK와 함께 LTE-M 기술을 밀고 있었지만)
현재에는 LG U+와 함께 NB-IoT를 밀고있고 SKT 는 LoRa 기술로 전국망을 건설 중
개발자는 각 목적에 따라 어떤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설계할 지 분명히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
IoT Service의 Architecture
- 센서나 액추에이터로 주위에서 데이터를 감지하거나 실행
- 데이터를 라우터를 통해서 연결
- 클라우드나 엣지 컴퓨팅을 활용하여 데이터 처리
-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인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
IoT 관련 서비스는 여러 일을 숙지해둘 필요가 있음.
ex. 데이터 처리를 위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 네트워크 연결,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충분히 익숙해질 필요가 있음.
마무리
IoT를 이용해서 크게 설계할 부분은 다음과 같음
이후에 IoT 플랫폼에서 필요한 기술 등을 학습하거나 하는 방향으로 학습 진행 필요!
- 식별체계 기술
- 검색 기술
- 장치관리 기술
- 서버가상화 기술
- 서비스 합성 기술
- 시맨틱 기술
댓글